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23일 “우리 경제가 참 불쌍하다”고 했다.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다. 경제활성화를 위한 법안들이 국회에서 제때 통과되지 못해 경제가 힘차게 뻗어나가지 못하는 상황을 안타까워 한 것이다. 그는 그러면서 ‘탱탱불은 국수론’을 들고 나왔다. 지난해 상반기 각종 회의에서 정책의 타이밍을 강조하면서 비유로 사용하던 그 ‘탱탱불은 국수’의 재활용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집권 3년차 중점 추진 사항들을 열거하면서 내각의 적극적이고 강력한 정책 조정 기능을 강조했다. 그는 “부처간, 이해집단 간 반발로 정책추진이 지연되거나 국회에 제출한 법안들이 1년이 넘도록 통과가 불확실한 법안들이 여러개 있는데, 하나하나 살펴서 결과를 도출해 나가야 하겠다”고 했다.
한국 경제
가 불쌍하다는 박 대통령의 말과 ‘탱탱불은 국수’ 비유도 이 과정에서 나왔다. 그는 “우리 경제를 생각하면 저는 좀 불쌍하다는 생각도 든다”며 “여러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지난번 부동산
3법도 작년에 어렵게 통과됐는데 그걸 비유를 하자면 ‘퉁퉁 불어터진 국수’”라고 말했다. 이어 “그것을 먹고도 부동산이 힘을 내가지고 꿈틀꿈틀 움직이면서 집 거래가 늘고 그랬거든요”라면서 “불어터지지 않고 좋은 상태에서 먹었다면 얼마나 힘이 나겠습니까. 우리 경제가 참 불쌍하다. 그렇게 불어터진 국수를 먹어도 힘을 차리는 구나. 제때 제때 먹을 수 있도록 경제활성화를 위한 법안도 힘을 합쳐서 통과시키고…. 그런 한 해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탱탱불은 국수’ 비유는 지난해 2월 5일 국무조정실 등의 부처 업무보고
에서 처음 등장한 바 있다. 당시에도 핵심 국정과제의 신속한 입법추진과 원활한 법집행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우리가 음식
을 차려도 국수가 따끈따끈 할 때 먹어야 소화
도 잘 되고 맛도 있고 제대로 먹은 것 같은데, 시간이 한참 지나 탱탱 불어터지고 텁텁해지면 맛도 없어지는데 누가 먹겠습니까. 정책도 타이밍이 중요해서 부동산법이라든가 우리가 시행하려는 것도 제때 통과돼야 시장
의 수요에 맞춰서 효과적으로 나가지, 300일을 묵히고 퉁퉁 불어터진 국수같이 이러면 시행돼도 별로 효과가 없을 수 있거든요”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1년여만에 다시 등장한 ‘탱탱불은 국수’이지만 박 대통령은 이번엔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를 통해 좀더 기민한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정책에 있어서는 세밀함과 협업
이 중요하다”며 “정책 실행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을 해서 부처간 협업을 강화
해서 정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요인이라든가 상충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또 필요한 시뮬레이션
도 충분히 해서 정책의 정합성을 유지
하는데 올해 각별하게 신경
을 썼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또 새로 신설하기로 한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가 이번주 처음으로 개최가 된다”며 “이 당정청 협의를 더욱 체계화, 공식화, 정례화한 것은 의미가 큰 것이다. 이번 정책조정협의회 가동을 계기로 해서 당정청이 국정의 공동 책임자란 인식을 가지고 한몸처럼 움직여서 국민 삶의 변화
를 이끌어 내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지금 지가 말아먹고 있으면서 불쌍하다고?
머리에 필터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