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익은 쌀 씹는 느낌"…장병, '전투식량S형' 불편 호소
국방기술품질원 "건조밥 제조 때 열풍건조→진공건조로 바꿔야"
"구매요구서에 진공건조 반영토록 방사청에 건의했으나 반영 안 돼"

상용 아웃도어용 제품을 모델로 제조돼 2018년 말부터 군에 납품된 '전투식량S형'에 대해 식감이 좋지 않는다는 장병 불만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병 민원에 따라 제품을 분석한 결과 전투식량S형에 들어가는 '건조밥'을 제조할 때 진공건조가 아닌 열풍건조 방식을 채택한 것이 원인으로 나타났다.국방기술품질원은 6일 발간한 '국방품질연구논집'에서 "2018년 말 신규 조달된 전투식량S형 제품에 대해 작년 초부터 취식할 때 먹기 불편하다는 장병 불만이 제기됐다"며 "제품에 뜨거운 물을 붓고 15분 정도 기다린 후 비벼서 먹는 과정에서 밥의 식감이 설익은 쌀을 씹는 것과 같이 딱딱해 먹기 불편하다는 불만이었다"고 밝혔다.즉석조리 제품인 전투식량S형은 소고기 고추장 비빔밥, 김치 비빔밥, 카레 비빔밥, 해물 비빔밥, 닭고기 비빔밥 등 5가지 종류가 있다. 건조된 밥과 건조야채류로 이뤄진 비빔밥과 비빔소스, 참기름, 숟가락이 들어 있다.포장을 개봉한 후 비빔소스와 참기름, 숟가락을 꺼내고 건조된 밥과 건조야채류에 뜨거운 물을 붓고 15분 후 비빔소스와 참기름을 섞어 비벼 먹는 전투식량이다. 2018년 11월 계약 후 12월 말 군에 최초 납품됐다.국방기술품질원은 이런 불만에 따라 건조 방법 등을 분석한 결과, 밥을 건조할 때 적용한 열풍건조 방식이 식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목했다.즉 열풍건조한 밥은 씹었을 때 깨지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진공건조한 밥은 열풍건조에 비해 탄력성이 있고 깨지는 현상은 적고 찰졌다는 것이다.진공건조는 진공압력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므로 쌀의 형태가 지속해서 유지되고 부서지는 현상이 적기 때문이라고 국방기술품질원은 설명했다.국방기술품질원은 "건조밥 생산 때 진공건조 방식을 적용하도록 계약업체에 권고해 제품이 생산·납품되도록 했다"면서 "방위사업청에도 밥 건조방식을 진공건조로 적용하도록 구매요구서에 추가해 달라고 건의했다"고 밝혔다.그러나 제품의 식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 '진공건조 방법'이 구매요구서에 반영되지 못했다고 국방기술품질원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