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대 높던 한국차, 어쩌다 이 지경까지…
해외선 잘나가지만 안방서 찬바람 맞았다
차업계 "내수를 어찌하오리까"
내수 판매 6개월째 하향세
내수
판매 6개월째 하향세
불경기 여파로
자동차 내수 판매 부진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3월
국산차 내수 판매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0%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 5사는 지난달 국내판매 12만175대, 해외판매 또는 수출 60만2,037대 등 총 72만2,212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3월과
비교해 내수는 9.8% 줄어들고 해외판매 또는 수출은 16.5% 늘어난 것으로 합계로는 11.2% 증가한 판매 실적이다.
이로써 내수의 경우 지난해 10월 이후 사실상 6개월째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됐다. 지난 2월 실적은 전년 2월보다 판매가 다소 늘었지만 설 연휴 등
영업일수 변동치를 감안하면 2011년 2월에 비해 실질 판매량이 줄어든 것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3월 판매를 사별로 보면 현대차는 내수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9.5% 줄어든 5만6,022대에 그쳤지만 해외판매가 24.4% 늘어난 32만6,637대를 기록하며 전체 판매는 17.9% 늘어난 38만2,659대로 집계됐다.
기아차 역시 내수는 8.8% 줄어든 4만2,050대에 그쳤지만 해외에서 19만8,407대를 팔아 전체로는 7% 증가한 24만457대를 기록하며 내수 부진을 해외 부문에서 성공적으로 만회했다.
르노삼성차는 내수와 수출 모두 심각하게 줄어 우려를 더했다. 내수는 지난해 3월 대비 41.7% 감소한 4,788대, 수출은 42.8% 줄어든 8,143대로 합계는 42.4% 감소한 1만2,931대 판매에 그쳤다.
쌍용차 역시 내수가 19.1% 감소하고(3,785대) 수출이 2.7% 줄어들며(5,557대) 합계 10.1% 감소한 9,343대 판매에 그쳤다.
유독 한국GM은 3월 내수와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내수는 1만3,530대로 대로 10.3% 늘고 수출은 6만3,293대로 14.3% 늘어 합계 7만6,823대, 13.6%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는 한국GM이 쉐보레 브랜드 도입 1주년을 맞아 대대적으로 펼친
마케팅이 주효한 결과인 것으로 파악된다. 안쿠시 오로라 판매ㆍ마케팅ㆍA/S 부문 부사장은 “3월 내수
신장은 쉐비 케어 서비스 프로그램, ‘러브 모어 1ㆍ3ㆍ5ㆍ7 페스티벌’ 등 고객 서비스와 마케팅에 대한 호응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완성차 5개사 가운데 현대차는 내수 판매 감소분을
효과적으로 수출로 넘기는 데 성공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차 3월 해외 판매 중 국내 공장서 만들어 수출한 물량이 전년 같은 달에 비해 42.3%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내수가 부진한 데 따라 수출
확대 노력을 펼친 것이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반면 기아차는 해외판매 중 국내 공장서 만들어 수출한 물량이 2월보다 3.1% 줄었다. 기아차 측은 “지난달 26일부터 전 공장에서 주간연속 2교대제 시범 운영에 들어감에 따라 근무시간이 하루 20시간(주간10+야간10)에서 17시간(오전8 +야간9)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완성차 5사의 1ㆍ4분기 실적은 내수 32만9,522대(7.3% 감소), 해외판매 또는 수출 170만5,795대(19.5% 증가) 등 총 203만5,317대(14.2% 증가)다. 내수는 줄었지만 해외 부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전체적으로는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는 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 가격은 크리로 올려사코 옵션질은 심하게 하시니 국내경제랑 관련없이 이제 소비자들은 보는눈과 감각을 가진것이다 그옛날 현.기.대 3개사가 치열한 경쟁하듯이 있었든 국산차의 내수시장독점도 언젠가는 시간이 흐르면 무너질것이다 . 아울러 fta로 인해 몇년후에 외제차가 더 내려가면 진짜 국산 내수시장의 독점회사는 정신을 좀 차릴듯..-